최근 거리를 지나다 보면 초등학교 저학년 혹은 심지어 유치원생까지 스마트폰을 들고 다니며 통화를 하고 게임을 하는 것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또 아이들이 보채거나 울때 어김없이 스마트폰을 꺼내 동영상을 틀어주는 부모들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처럼 어른뿐만 아니라 아이 혹은 유아들에게까지 퍼져있는 스마트폰과 인터넷, 문제는 없는걸까?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전문의들은 보통 학업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시간에 영향을 줄 정도로 많은 시간을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사용에 쓰는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특히 점차 사용시간이 늘어나고 이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도 인터넷과 스마트폰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경우도 중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디까지를 중독으로 볼 수 있는 것일까? 보통 내성과 금단증상이 있다면 중독을 의심할 수 있다.

내성은 시간이 갈수록 더욱 강한 자극을 추구하게 되는 것이고 금단은 자극이 차단되었을 때 심각한 스트레스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흔히 약물중독, 알코올중독 등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역시 내성과 금단 현상을 보인다면 중독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일단 중독 증상을 보이는 청소년들은 일정시간 인터넷, 스마트폰을 사용하고서도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반응을 보이며 이들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도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에 대한 생각과 이야기에 몰두한다.

또한 사용과 관련해서는 통제력을 상실하고 사용하지 않으면 매우 불안해한다. 학업 등 일상생활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부모님이나 선생님들과 갈등이 빚어지는 경우도 있다. 급기야 인터넷, 스마트폰 사용을 위해 돈을 훔치거나 거짓말을 하기도 한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은 이들을 접하기 시작하는 학년 때부터 사용교육 등을 통한 중독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현실세계에서 충분히 만족감과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적 경험들을 하는 것도 필요하며 부모님, 친구들과의 정서적 교감이 필요하다.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소아청소년이 함께 겪고 있는 정서적인 문제, 좌절감, 갈등으로 인한 단절감을 심도깊게 다루고, 저학년의 경우 행동계약 등의 행동치료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이들 중독과 관련한 다른 정신과적 문제가 있는 경우도 흔하기 때문에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 전문의의 체계적인 평가를 통해 문제의 원인과 양상들을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함께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온 종합병원 소아청소년정신건강센터 김상엽 소장은 “문제행동이 심각한 경우 단기입원을 고려할 수 있으나 청소년의 경우 관계악화로 이어질 경우 부정적인 효과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치료를 주의가 필요하다”며, “중독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노, 불안 및 우울증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약물치료를 시행하여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고 조언한다.

저작권자 © ONNews 오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