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규의 차차차, 茶이야기

차는 차나무의 어린 잎을 따서 만든 음료를 일컫는다. 세계적으로 애용되는 기호음료인 차는 기호음료 전체를 말하지만 차나무의 잎이 아닌 것을 재료로 하여 만든 음료는 전통차로 구분하기도 한다. 녹차나 홍차외에 한국에서 마시는 차로는 두충차, 감잎차 등의 잎차와 열매로 만든 유자차, 모과차, 꽃이나 뿌리, 껍질로 만든 국화차, 인삼차, 귤피차, 쌍화차 등이 있다.

 

우리 차의 유래는 인도차 전래설, 중국차종 도입설 등의 외래설과 우리나라에서 이미 그 이전에 자생했다는 자생설이 있다.

 

중국인들이 차를 애음하는 습관은 어제 오늘 쌓아온 것이 아니다. 기원전부터 우리가 숨쉬는 공기처럼 어느덧 일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고, “중국=차의 나라”라고 사람들 머리에 각인되어 있다.

 

중국음식이 기름지지만 비만이 많지 않은 것은 바로 차를 마시기 때문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중국인들의 치아를 보면 누르스름한 경우가 많은데 이것 또한 차로 인해 착색이 된 탓이다. 중국은 넓은 만큼 차를 마시는 풍습도 다양하다. 변방의 소수 민족들은 버터나 소금을 타서 마시기도 하고, 한족(漢族)의 경우에는 오직 차 자체만으로 끓여 마신다.

 

같은 한족이라도 지역에 따라서 마시는 차가 다른데 복건성(福建省)과 광동성(廣東省)은 우롱차, 양자강 이남 지역은 녹차나 홍차, 산동성(山東省) 이북에서는 쟈스민차, 티벳 등 서쪽지역은 떡차나 벽돌차를 마신다고 알려져있다.

 

중국식 다도는 찻잔의 차가 어느 정도 줄면 서로 잔을 채워주는데 상대방이 자신의 잔을 채울 때에는 두 번째 손가락 끝으로 테이블을 가볍게 두드리면 된다. 이것은 대화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서로에 대한 예를 갖추는 방법이다.

 

<문창규 부산서면포럼 회장>

저작권자 © ONNews 오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