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하(立夏)

입하.(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제공)
입하.(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제공)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양력으로 5월 6일 무렵이고 음력으로 4월에 들었으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45도에 이르렀을 때이다.

입하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들어 여름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절후이다.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뜻으로 맥량(麥凉), 맥추(麥秋)라고도 하며, '초여름'이란 뜻으로 맹하(孟夏), 초하(初夏), 괴하(槐夏), 유하(維夏)라고도 부른다.

이때가 되면 봄은 완전히 퇴색하고 산과 들에는 신록이 일기 시작하며 개구리 우는 소리가 들린다 또 마당에는 지렁이들이 꿈틀거리고, 밭에는 참외꽃이 피기 시작한다. 

그리고 묘판에는 볍씨의 싹이 터 모가 한창 자라고, 밭의 보리이삭들이 패기 시작한다. 집안에서는 부인들이 누에치기에 여념이 없고, 논밭에는 해충도 많아지고 잡초가 자라서 풀뽑기에 부산해진다. 

옛날 재래종 벼로 이모작을 하던 시절에는 입하 무렵에 한창 못자리를 하므로 바람이 불면 씨나락이 몰리게 되는데, 이때 못자리 물을 빼서 피해를 방지하라는 뜻으로 "입하바람에 씨나락 몰린다."는 말이 있다. 

겨울에 눈이 많이 오는 해는 목화가 풍년 든다는 뜻으로 "입하 일진이 털 있는 짐승날이면 그해 목화가 풍년 든다."는 말도 있다.

입하가 다가오면 모심기가 시직되므로 농가에서는 농가에서는 들로 써레를 싣고 나온다는 뜻으로 "입하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라는 말도 있다. 

재래종을 심던 시절에는 입하 무렵에 물을 잡으면, 근 한 달 동안을 가두어 두기 때문에 비료분의 손실이 많아 농사가 잘 안 된다는 뜻으로 "입하에 물 잡으면 보습에 개똥을 발라 갈아도 안된다."라는 말도 있다. 

옛날 중국에서는 입하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세분하여, 초후는 청개구리가 울고, 중후는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말후는 왕과(王瓜 쥐참외)가 나온다고 하였다.

음력에서는 보통 4, 5, 6월 석달을 여름이라고 하지만 엄격히 규정한다면 입하 이후 입추 전날까지를 여름이라 한다.

 

- 지식백과, 한국세시풍속사전, 입하(立夏), 제공처 국립민속박물관 
- 韓國民俗大觀4, 1981년저
- 박명원 외 편저. 한국속담 성어 백과사전 1 - 속담 편. 푸른사상사, 2002년
- 民俗誌, 1989년
- 洪城의 民俗, 1994년
- 네이브블로그, 새로쓰는 사랑이야기, 민속자료(풍속, 풍문), 24절기 중의 입하, 화풍 (2018.02.19.)
- 네이브블로그, 방산시장 한솔벽지, 바닥재... 일상이야기, 입하절기~~~시간 빠르네요'~ 벽지쟁이 (2015.05.06.)

저작권자 © ONNews 오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