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복(三伏)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의 절기로 초복, 중복, 말복을 가리킴. 하지로 부터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初伏), 넷째 경일을 중복(中伏), 입추 후 첫째 경일을 말복(末伏)이라 하며 이를 삼복(三伏) 혹은 삼경일(三庚日) 이라 한다. 

복날은 10일 간격으로 들기 때문에 초복에서 말복까지는 20일이 걸린다. 이처럼 20일 만에 삼복이 들면 매복(每伏)이라고 한다.

하지만 말복은 입추 뒤에 오기 때문에 만일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이 되면 달을 건너 들었다 하여 월복(越伏)이라 한다. 

삼복은 음력의 개념이 아닌 양력의 개념을 적용한 것이기 때문에 소서(양력 7월8일 무렵)에서 처서(양력 8월23일 무렵)사이에 들게 된다. 올해 삼복은 양력으로 7월16일, 7월26일, 8월15일 이다.

복날은 장차 일어나고자 하는 음기와 양기가 눌려 엎드려 있는 날이라는 뜻이다. 복(伏)자는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있는 형상이다. 

가을철 금(金)의 기운이 대지로 내려오다가 아직 여름철의 더운 기운이 강렬하기 때문에 일어서지 못하고 엎드려 복종한다는 즉, 굴복(屈伏)의 의미로, 여름의 더운 기운이 가을의 서늘한 기운을 제압하여 굴복시켰다는 뜻이다. 

곧 오행에서 여름은 불[火]에 속하고, 가을은 쇠[金]에 속하는데, "여름 불기운에 가을의 쇠 기운이 세 번 굴복한다."라는 뜻으로 복종한다는 뜻의 복(伏)자를 써서 삼복이라 하였다.

천간(天干: 십간) 중 경일을 복날로 삼은 까닭은, 경(庚)은 속성상 약하고 오행으로 볼 때 금(金)이며, 계절로는 가을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금은 사계절 중 가을이기 때문에 금의 기운이 내장되어 있는 경일을 복날로 정해 더위를 극복하라는 뜻이다.

삼복은 중국 진(秦)나라 때부터 시작되었으며 , 일년 중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시기여서 삼복더위라는 말이 생겨나기도 했다.

복날 한적한 숲속 냇가에서 개를 잡아 개장국을 끓여 먹는 풍속을 '복달임', '복놀이'라 했으며, 함경도에서는 개 잡는 것을 '개놀음'이라 불렀다. 

또 복날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에 걸리지 않는다 하여 팥죽이나 수박, 참외를 먹었다. 1800년대 유만공(柳晩恭)은 복날의 풍경을 이렇게 읊었다.

"참외 쟁반에다가 맑은 얼음을 수정같이 쪼개 놓으니, 냉연한 한 기운이 삼복을 제어한다. 푸줏간에는 염소와 양 잡는 것을 보지 못하겠고, 집집마다 죄 없는 뛰는 개만 삶아 먹는다.

삼복 날씨로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한다. 삼복에 비가 오는 것을 삼복비라고 하는데, 전남에서는 복날의 비를 농사비라 하여 기나리며 부산에서도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고 한다.

강원도에서는 천둥이 치면 산과가 흉년이 든다고 여긴다. 또한 대추나무는 삼복 즈음에 열매를 맺는데, 이때 비가 오면 열매를 맺지 않는다고 하여 "복날 비가 오면 보은 처녀가 운다." 라는 속담이 있다. 

보은 지역은 대추농사를 많이 짓는데, 복날 비가 오면 대추가 흉년이 들어 가계가 어러워지므로 시집가기 어려워진다는 말이다.

강원 지역에서는 주로 초복에 거미를 잡아 말려서 분말로 만들어 두며 감기에 걸렸을 때 그 가루를 먹는다.

하늘의 수많은 별 중에서 가장 밝은 별이 겨울철  남쪽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시리우스' 별이다. 시리우스는 큰 개 자리의 가장 밝은 별로 지구로 부터 약 8.6광년 떨어져 있는 별이라고 한다.

삼복 더위가 찾아올 때면 이 별이 태양과 같이 떠오르고, 서양사람들은 삼복 때 특히 더운 이유를 태양의 열기와 시리우스의 열기가 합해졌기 때문이다 고 생각하여 이 때를 dog's day라고 부른다고 한다.

여름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는 사냥꾼 오리온으로 상징되는 별자리를 따라갔기 때문에 '독스타 (Dog Star)'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북반구의 현대 영어권 세계의 대부분은 7월 3일에서 8월11일 사이의 날을 여름 강아지의 날이라고 부르는데, 여름 '개의 날'이란 말은 라틴어에서 번역된 후 약 500년 동안 영어로 사용되어 왔다.

몇몇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은 엄청나게 밝은 시리우스로 부터의 열이 실제로 여름의 무더운 날을 야기시킨다고 믿었고, 태양과 도그스타의 빛과 열을 결합한 것이 식물에서 동물, 인간, 심지어 개까지 모든 것에 강한 영향을 준다고 생각했다.

 

- 네이브포스트, 재미로 알아보는 강아지 역사, Dog Day는 무슨 뜻일까? 와그작  (2020.07.03.)
- 나무위키, 삼복 (최근 수정 시각 2022.07.15)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세시풍속사전, 삼복(三伏) 집필자 정종수(鄭鐘秀)
- 東國歲時記, 冽陽歲時記, 海東竹枝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민속박물관

저작권자 © ONNews 오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