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충일(顯忠日)

태극기.(게이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제공)
태극기.(게이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제공)

국토방위에 목숨을 바친 이의 충성을 기념하는 날. 6월 6일이며,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 및 전몰장병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위훈을 추모하는 행사를 하며 조기 게양을 한다.

국가가 존재하는 데에는 상당한 전란을 거치게 되어 있고, 모든 국가는 그 전란에서 희생된 자를 추모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48년 8월 정부 수립 후 2년도 채 못 되어 한국전쟁을 맞았고 이에 40만 명 이상의 국군이 사망하였으며 백만 명에 달하는 일반 시민이 사망하거나 피해를 입었다.

1953년 휴전이 성립된 뒤 3년이 지나 어느 정도 자리가 안정을 찾아가자 정부는 1956년 4월 대통령령 제1145호로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건'을 개정하여 

매년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하고 기념행사를 가지도록 하였는바, 현충기념일은 통상적으로 현충일로 불리다가 

1975년 12월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어 현충일로 공식적으로 개칭되었다. 1982년 5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에 의해 법정기념일이 되었다.

행사는 국가보훈처가 주관이 되어 행하는바 서울에서는 국립묘지에서 시행되고 있다. 추모대상범위는 한국전쟁에 전사한 국군만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목숨을 바친 모든 선열의 넋을 기리고 있다.

2022년 올해 67회를 맞는 현충일 추념식은 '대한민국을 지켜낸 당신의 희생을 기억합니다.'라는 주제로 열렸다. 

윤석열 대통령은 추념식에서 "자유 민주주의 나라를 만드는 것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선열들의 희생을 빛내는 길" 이라고 강조하며 "남겨진 가족을 돌보는 것이 국가의 의무"라고 했다.

이에 공정하고 합리적인 보훈체계를 마련하여 유공자들이나 그 가족에게 억울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제복 입은 영웅들이 존경받는 나라를 만들 것이며 후손에게 더 자유롭고 평화로운 나라를 물려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북한만행사십년사, 한국반공교육연구원, 198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저자/제공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MBC NEWS 오늘 제67회 현충일 추념식, 김정인 기자 (2022.06.06.)
-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현충일 顯忠日

저작권자 © ONNews 오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