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지리산 칠불암 아자방(亞字房)은 선방으로 유명합니다. 조선중엽에 있었던 일화입니다. 아자방을 보기위해 하동군수가 칠불암에 들렀습니다. 아자방의 방문을 연 군수는 뜻밖의 광경을 목격했습니다. 참선하는 스님들이 모두 졸고 있었던 것입니다. 조는 모습이 천태만상입니다. 하늘로 고개를 쳐들고 조는 스님, 땅을 내려다 보며 조는 스님, 좌우로 흔들거리며 조는 스님, 더욱이 방귀까지 붕붕 끼어대는 스님도 있었습니다.

군수는 방문을 닫고 동행한 노승에게 물었습니다. "하늘로 고개를 쳐들고 조는 것은 무슨 공부요?"  노승이 대답했습니다. "그것은 하늘의 별자리를 보아 모든 중생을 구제하려는 공부죠." 그리고 "땅을 내려다 보며 조는 공부는?"  "지하의 망령들을 제도할 방법을 관(觀)하는 공부입니다." 군수가 계속 물었습니다. "좌우로 흔들어대며 조는 공부는?" "한 쪽에도 집착하지 않는 관(觀)을 함으로써 오묘한 경지에 이르는 공부입니다." 그렇다면 "방귀까지 뀌며 조는 것은 대체 무슨 공부요?" 노승이 대답했습니다. "남의 말을 잘 들을 줄 모르고 제 고집만 내 세우려는 중생의 마음을 깨뜨려 주기 위한 공부입니다."

군수가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습니다. "그렇게 오묘한 공부인 줄은 미처 몰랐소. 내가 숙제를 하나 내겠소. 내일 안으로 동헌 뜰에다 목마(木馬)를 만들어 놓을 테니 한 번 달려 보시오. 만일 말을 달리지 못하면 암자를 폐쇄시키겠소."

낭패를 당한 칠불암 스님들은 밤새 고민했지만 난관을 돌파할 길이 묘연했습니다. 다음 날이었습니다. 동헌에 한 동자승이 나타났습니다. 동자승은 뜰에 마련된 목마를 타고 앉더니 목마의 엉덩이를 손바닥으로 힘껏 쳤습니다. 목마는 방울소리를 크게 울리며 하늘로 날았습니다. 하늘로 날아간 목마는 푸른 사자로 바뀌고 동자는 문수보살로 변했습니다.

지리산에 문수보살이 출현한 이야기입니다. 문수보살의 완전한 호칭은 대지문수사리보살(大智文洙舍利菩薩)입니다. 

 

지리산이란 이름은 대지문수사리보살에서 유래합니다. 대지(大智)의  지(智)가 지리(智異)의 지(智)이고, 문수사리(文洙舍利)의 리(利)는 지리의 리(利)로 쓰이다가 오늘날의 리(異)로 바뀌었습니다.

지리산 쌍계사의 금강문은 특이합니다. 문에 지혜의 상징인 문수보살과 문수의 행(行)을 표현한 보현보살상이 있습니다.

통광스님이 지리산 칠불암을 크게 중창하여 근래에는 칠불암이라 부르지 않고 암자를 절로 격상시켜서 칠불사라 부릅니다. 칠불사는 가까운 국사암과 함께 절 안에 문수전을 두어 문수보살을 각별히 모시고 있습니다. 지리산을 문수보살의 상주처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이현도 글
- 이 글은 경남도민일보 2000년 1월20일자에 게재한 나의 글입니다.

저작권자 © ONNews 오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